[태그:] Dislikes

  • 지금은 ‘지키자 vs 바꾸자’의 싸움이 아니다

    지금은 ‘지키자 vs 바꾸자’의 싸움이 아니다

    오늘 헌정사상 세번째로 대통령의 직무 정지가 결정 되었다.

    정치적 대립은 복잡해 보이지만 모든 것은 항상 ‘지키자’와 ‘바꾸자’로 귀결된다. 가진자는 지키려하고 가지지 못하려는 자는 바꿔 뺏으려고 하는 것이 타당한 법. 우리는 그것을 보수와 진보라고 부른다. 좌우를 떠나 모두가 자신의 이득을 쟁취하거나 지키기 위해 발언을 하고 행동하는 것은 당연지사.

    하지만 모든 게임에는 룰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6살짜리가 만든 게임에서도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해서는 않되는 것과 되는 것을 설명하고 게임을 시작한다. 그리고 그 룰을 벗어나는 순간 지적 당하고 페널티를 받는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정해진 룰과 정도가 있고 이를 뒤집으려는 반 사회적인 행동을 한 자는 당연히 페널티를 받고 처벌 받아야 한다. 이런 위급한 순간에도 좌우로 나뉘어 서로의 잘 잘못을 따지는 것은 어리석으며 이러한 사회 분열이 바로 그 자들의 노림수다.

    이런 시기에 게임 참여자 모두가 힘을 합쳐 그들을 제지하지 않는다면 독재라는 새로운 게임의 룰을 우리는 선포 받고 그제서야 우리는 더 이상 민주주의라는 게임을 하고 있지 않는다는 사실에 후회 할 것이다.

    그들이 원하는 새로운 게임은 진보와 보수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지금 우리는 우리의 게임 판을 지키는 것이 급선무이며 그 이후에 다시 정상적인 투표로 자신의 이득을 위한 한 표를 행사하면 된다.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이 민주주의 사회가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외래의 침략이 아니면 더 이상 우리사회를 전복 시키기 어려울 수준으로 올라왔다고 생각했었는데, 이제서야 지금 누리는 것이 노력을 기울여서 지켜야 할 가치이고 공짜가 아니라는 것을 새삼 새로 깨닳는다.

  • 혼돈도 ‘돈’이다

    혼돈도 ‘돈’이다

    최근에 발생한 일련의 국가 비상사태 그리고 그 다음 날 이때를 놓치지 않으려는 발 빠른 사람들이 몰려 만들어낸 정치 테마 주 상한가. 과연 비난 받아야 하나?

    나의 의지와는 아무런 상관 없이 이런 일을 당해버린 우리. 절망해서 시시각각 올라오는 뉴스 기사들을 정독하면서 분노하거나 양극화로 갈라져 버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시간 낭비를 하는 것에 시간을 할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일련의 사태로서 발생한 자신의 피해를 최소화 하려고 노력을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개인 적으로 생각한다.

    혼돈도 ‘돈’이다. 방금 들은 한 유튜버의 공감하는 말.

    얍삽하게 혼돈을 돈을 버는 기회로 생각하자는 말이 아니다. 그들 역시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 없이 단순히 힘이 없어 자신에게 발생한 피해를 최소화 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 ‘했제와 그랫제’

    ‘했제와 그랫제’

    넘쳐나는 정보들 사이에서 사람들은 그나마 좋은 판단을 하기 위해서 공신력 있고 자칭 전문가들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미디어도 물론이고 마치 신도들이라도 모집 하는게 목적인 듯한 유튜버들의 홀릴듯한 말도 혹시나 하고 경청한다.

    세기도 힘들 정도의 다양한 예측 그리고 예언들을 쏟아놓지만 실제 뚜겅을 열어보면 당연히 대부분은 틀리고 어쩌다가 하나 맞추게되면 광신도 모집 중인 유튜버들은 물론이고 전통적인 미디어 역시 자칭 전문가란 양반들 패널로 데려와서 똑같이 하는 말 ‘내가 그렇다고 했제? 그랬제?’

    나는 내 생각을 사람들에게 설명하거나 설득하고자 할 때 ‘제 생각에는’이라는 운을 띄우곤 말을 시작하곤 한다. 영어로는 “In my humble opinion”이다. 내가 자신의 생각에 확신이 없어서 이렇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나의 의견과 생각도 그저 하나의 의견과 생각일 뿐, 내가 항상 맞지 않고 틀릴 수 있다는 생각을 기본적으로 전제하고 있어서다.

    겸손하자. 아니 적어도 수 없이 입 밖으로 내 뱉은 자신의 말들이 대부분 틀렸다는 것에 창피한 것은 알아야 하지 않을까? 어쩌다가 하나 운 좋게 맞은 예측을 가지고 ‘제가 기존에 말씀 드린대로..’, ‘제가 예전부터 이야기 했듯이..’라고 기억을 더듬으라고 강요하는 너희들 부끄럽지도 않니?

  • 안녕하세요? 인플루언서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플루언서 ○○○입니다

    네이버의 여론 조작 기사들이나 바이럴 목적의 블로그 글들은 되도록이면 멀리하는 편인데, 어쩔수 없이 메인에 뜨는 강제 노출 블로그들에 이런 말로 시작하는 글이 꽤 보인다.

    ‘안녕하세요? 인플루언서 ○○○입니다.’

    언제부터 인플루언서가 셀프 인정하는 타이틀이 되었으며 이제 아예 인플루언서가 하나의 직업인 것처럼 인사를 하네? 그리고 저 치기도 힘든 영어 발음 ‘인.플.우.언.서’ 단어는 왜 쓰는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