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Soung Soo Park

  • 아들의 생일을 맞이하며

    아들의 생일을 맞이하며

    어릴적 책상에 꽃혀있던 위인전집에는 바닥에서부터 올라와 성공한 사람, 세상의 끝은 낭떨어지라고 모두가 무서워했으나 결국 신대륙을 발견 한사람, 수 많은 역경을 견디고 결국은 역사책에 기록된 위인들의 이야기가 쓰여져 있다.

    또한 어려서 도전을 두려워 하지 마라, 여행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을 넓혀라, 최대한 많은 경험을 하라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라왔다.

    하지만 때가 와서 사회를 진출 할 때가 되었을 때 부모님은 나의 이름 높은 대학원 졸업식 때 불필요한 가족을 부르면까지 축하 해 주셨고 대기업 직장을 얻었을 때는 근면 성실하게 다니라고 알람시계를 선물로 사주셨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서 내가 자립한 이후에는 패가망신 할까봐 사업으로 결국 모든 것을 날린 주변의 이야기, 남에게 담보를 해줘서 모든 것을 한순간에 날린 외할아버지 이야기, 그리고 주식을 도박처럼 해서 전 재산을 날린 지인들의 이야기를 해주면서 남들이 모두 가는 길 밖으로 빠지지 않게 안내 해 주셨다.

    지금 우리도 우리 아이들에게 같은 격려, 조언, 간접 경험들을 제공해서 우리는 해내지 못한 빛나고 성공한 삶을 살기를 바라지만 또 다른 한쪽에서는 우리 아이들을 정답지 같은 삶으로 안내하고 바란다.

    우리 아이를 위한 증여 그리고 미성년인 아이의 이름으로 회사 설립 참여 같은 아이를 위한 ‘안전장치’들은 남기지 않기로 마음 먹었다.

    내가 배우고 들은 위인들은(모두가 성공한 삶을 인정하는) ‘결핍’ 아니면 ‘넘치는 여유’에서 시작했다.

    정말로 이거 아니면 죽기에 할 수 없이 사력을 다 할 수 밖에 없어 모든 것을 걸었다가 결국은 성공해낸 사람 또는 태어날 때부터 귀족에 집에 돈이 넘쳐 일 할 필요가 없으니 사색과 성찰을 통해 진리를 깨우치거나 남들처럼 다음 날 일찍 일어나서 생계를 책임질 필요가 없기에 밤새 아름다움 하늘을 바라보다가 위대한 발견을 한 사람들처럼 말이다.

    나는 엄청난 부를 자식에게 줄 수 있는 능력이 없으니 정신만 헤이하게 만들고 이것도 저것도 아닌 ‘안이한 정도의 부’라는 안전장치를 남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대신 아이의 행복한 어린시절과 지금 우리 가족의 행복을 위해 사용하겠다.

    그리고 제일 중요하게 아이에게 일관성 있는 인생의 조언자가 되기를 스스로 바란다.

    아이는 슬퍼 할 수도 있겠지만 이 마음가짐이 오늘 우리 아들을 맞아 준비한 아빠의 선물이다.

  • 지금은 ‘지키자 vs 바꾸자’의 싸움이 아니다

    지금은 ‘지키자 vs 바꾸자’의 싸움이 아니다

    오늘 헌정사상 세번째로 대통령의 직무 정지가 결정 되었다.

    정치적 대립은 복잡해 보이지만 모든 것은 항상 ‘지키자’와 ‘바꾸자’로 귀결된다. 가진자는 지키려하고 가지지 못하려는 자는 바꿔 뺏으려고 하는 것이 타당한 법. 우리는 그것을 보수와 진보라고 부른다. 좌우를 떠나 모두가 자신의 이득을 쟁취하거나 지키기 위해 발언을 하고 행동하는 것은 당연지사.

    하지만 모든 게임에는 룰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6살짜리가 만든 게임에서도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해서는 않되는 것과 되는 것을 설명하고 게임을 시작한다. 그리고 그 룰을 벗어나는 순간 지적 당하고 페널티를 받는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정해진 룰과 정도가 있고 이를 뒤집으려는 반 사회적인 행동을 한 자는 당연히 페널티를 받고 처벌 받아야 한다. 이런 위급한 순간에도 좌우로 나뉘어 서로의 잘 잘못을 따지는 것은 어리석으며 이러한 사회 분열이 바로 그 자들의 노림수다.

    이런 시기에 게임 참여자 모두가 힘을 합쳐 그들을 제지하지 않는다면 독재라는 새로운 게임의 룰을 우리는 선포 받고 그제서야 우리는 더 이상 민주주의라는 게임을 하고 있지 않는다는 사실에 후회 할 것이다.

    그들이 원하는 새로운 게임은 진보와 보수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지금 우리는 우리의 게임 판을 지키는 것이 급선무이며 그 이후에 다시 정상적인 투표로 자신의 이득을 위한 한 표를 행사하면 된다.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이 민주주의 사회가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외래의 침략이 아니면 더 이상 우리사회를 전복 시키기 어려울 수준으로 올라왔다고 생각했었는데, 이제서야 지금 누리는 것이 노력을 기울여서 지켜야 할 가치이고 공짜가 아니라는 것을 새삼 새로 깨닳는다.

  • 만족도가 가장 높은 상품 발견?

    만족도가 가장 높은 상품 발견?

    오늘 드디어 개인적으로 많은 기대를 했던 아이 학교의 크리스마스 콘서트에 초대 받아 참석했다. 이전 글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다시 한번이나 제대로 볼 지 모르겠는데 핸드폰을 벌 서는 것처럼 정 자세로 들고 아이의 퍼포먼스를 핸드폰 메모리에 담았다.

    관람을 마치고 우리 아들이 이렇게 까지 성장했구나 하는 마음에 기특 하기도 하고 생각 한 것보다 아이들의 뛰어난 무대와 연출을 눈으로 확인한 것에 놀랐는데, 내가 지금까지 돈을 들인 것 중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은 상품이 바로 이 교육비가 아닌가 싶다.

    또 나만 그렇다고 느낌 것은 아닌 것이 아닌게 무대가 시작하기 전 오늘 아이들의 학예회 때문에 밤잠을 설쳐 늦게까지 잠에 들지 못했다는 다른 아빠 역시 무대 후에 같은 느낌이었지 싶다.

    학교에서도 보내오는 아이들의 일상 사진이며 이런 연말을 마치는 행사까지 다 ‘여러분의 아이가 이렇게 성장했어요!’ = ‘당신이 투자한 돈이 무의미 하지 않았어요!’를 증명하는 것 아닌가 싶다.

    말이 이래서 그렇지 비난 하는 말이 아니다. 정말로 투자 대비 만족했다. 돈 벌러 가자.

  • 혼돈도 ‘돈’이다

    혼돈도 ‘돈’이다

    최근에 발생한 일련의 국가 비상사태 그리고 그 다음 날 이때를 놓치지 않으려는 발 빠른 사람들이 몰려 만들어낸 정치 테마 주 상한가. 과연 비난 받아야 하나?

    나의 의지와는 아무런 상관 없이 이런 일을 당해버린 우리. 절망해서 시시각각 올라오는 뉴스 기사들을 정독하면서 분노하거나 양극화로 갈라져 버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시간 낭비를 하는 것에 시간을 할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일련의 사태로서 발생한 자신의 피해를 최소화 하려고 노력을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개인 적으로 생각한다.

    혼돈도 ‘돈’이다. 방금 들은 한 유튜버의 공감하는 말.

    얍삽하게 혼돈을 돈을 버는 기회로 생각하자는 말이 아니다. 그들 역시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 없이 단순히 힘이 없어 자신에게 발생한 피해를 최소화 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 ‘했제와 그랫제’

    ‘했제와 그랫제’

    넘쳐나는 정보들 사이에서 사람들은 그나마 좋은 판단을 하기 위해서 공신력 있고 자칭 전문가들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미디어도 물론이고 마치 신도들이라도 모집 하는게 목적인 듯한 유튜버들의 홀릴듯한 말도 혹시나 하고 경청한다.

    세기도 힘들 정도의 다양한 예측 그리고 예언들을 쏟아놓지만 실제 뚜겅을 열어보면 당연히 대부분은 틀리고 어쩌다가 하나 맞추게되면 광신도 모집 중인 유튜버들은 물론이고 전통적인 미디어 역시 자칭 전문가란 양반들 패널로 데려와서 똑같이 하는 말 ‘내가 그렇다고 했제? 그랬제?’

    나는 내 생각을 사람들에게 설명하거나 설득하고자 할 때 ‘제 생각에는’이라는 운을 띄우곤 말을 시작하곤 한다. 영어로는 “In my humble opinion”이다. 내가 자신의 생각에 확신이 없어서 이렇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나의 의견과 생각도 그저 하나의 의견과 생각일 뿐, 내가 항상 맞지 않고 틀릴 수 있다는 생각을 기본적으로 전제하고 있어서다.

    겸손하자. 아니 적어도 수 없이 입 밖으로 내 뱉은 자신의 말들이 대부분 틀렸다는 것에 창피한 것은 알아야 하지 않을까? 어쩌다가 하나 운 좋게 맞은 예측을 가지고 ‘제가 기존에 말씀 드린대로..’, ‘제가 예전부터 이야기 했듯이..’라고 기억을 더듬으라고 강요하는 너희들 부끄럽지도 않니?